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 HOME
  • 교육뉴스
  • 보도/설명/반박
  • 보도자료

부산, 1학기 학교폭력 신고 건수, 전년 대비 11.2% 감소

  • 작성자교육뉴스1
  • 등록일 2025.09.16
  • 조회수 16
  • 담당자(팀)명인성체육급식과
  • 문의처051-860-0412

부산 각급학교의 올해 1학기 학교폭력 신고건수(1,413)가 지난해 같은 기간(1,592)에 비해 11.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교육청의 예방 중심 학교폭력 정책과 관계회복 문화 확산 노력이 학교폭력 신고 건수 감소로 이어지며, 학교 현장에서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다는 분석이다.

부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김석준)17개 시·도 교육청이 공동으로 실시한 ‘2025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전수조사) 결과16일 발표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지난 414일부터 513일까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시·도 교육청으로부터 위탁을 받아 온라인으로 실시했다. 부산시 내 초···특수·각종학교 633교의 초등 4학년부터 고등 3학년까지의 학생 226,275명 중 206,412명이 참여해 참여율은 91.3%로 나타났다.

이번 실태조사(20242학기부터 20255월까지의 경험)에서 부산지역의 2025년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은 2.6%, 지난해 2.1%에 비해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 피해 유형은 언어폭력(38.2%), 집단따돌림(16.2%), 신체폭력(15.5%), 사이버폭력(7.1%) 순으로 조사됐다.

학교급별 피해응답률은 중학교 1.9%(전국대비 0.2%p󰀻), 고등학교 0.7%(전국대비 0.1%p󰀻)로 전국대비 낮으나, 초등학교는 5.4%0.4%p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마음건강 악화와 대인관계·갈등관리의 어려움이 학교폭력으로 확산되고, 경미한 사안까지 적극적으로 신고되는 문화가 정착된 결과로 분석된다. 특히 초등 저학년 피해율 상승, 언어폭력 증가, SNS 기반의 신·변종 사이버폭력 확산이 주요 특징으로 나타났다.

결국 피해응답률의 증가는 학교폭력 자체가 늘었다기보다 학교폭력 예방교육 확산으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이 높아지고 적극적인 신고 문화가 자리잡은 결과로 해석된다.

부산시교육청은 이번 실태조사 결과와 성과를 바탕으로 학교폭력 예방대책을 더 강화하기로 했다.

올해는 학생과 교육공동체를 회복·치유하는 교육적 해결 강화를 정책 방향으로, ‘11건씩! 관계회복으로 자체해결 Up, 심의 Down’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워 학교폭력 대응체계를 전환했다.

내년에는 이를 한층 발전시켜 학교가 스스로 갈등을 해결하고 교육공동체가 함께 회복하는 문화를 확산시킬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학교장·생활부장 연수를 통해 정책을 공유하고 실행력을 높이며, 회복적 서클 프로그램 운영, 관계회복지원단 연수 확대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초등학교 저학년(1~3학년)을 대상으로 경미한 사안의 관계회복 숙려기간 시범사업을 운영해 학생들의 자기 성찰과 감정 조절 능력을 길러준다.

학교폭력 예방교육도 한층 강화한다. 초등 인성교육과 연계한 언어문화개선 프로그램, ·고등학교 교육과정 연계 언어순화운동 의무화, ··프로젝트 추진 및 언어폭력 예방 주간(10) 운영을 통해 언어폭력 차단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교육과정과 연계한 정보윤리교육 10차시 의무 편성, 사이버폭력 예방 주간(6), 사이버 도박 예방 특강 등을 통해 건강한 온라인 문화를 확산시킬 예정이다.

가정과의 협력도 강화한다. ‘찾아가는 학부모 교육을 확대하고, ‘학부모를 위한 학교폭력 궁금증 해소책자를 배포해 학부모의 이해와 참여를 높이며, 학교전담경찰관(SPO)과 협력해 맞춤형 예방교육을 실시한다.

이와 함께, ‘학교폭력 책임규약을 기반으로 교원 대상 역량 강화 연수를 운영하고, 사회정서교육 및 인성·체육·예술 통합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건강한 학교문화를 조성한다.

학교폭력 ZERO! 만들기사업과 어깨동무 운영학교를 통해 학생 주도의 또래활동을 적극 지원한다.

김석준 교육감은 이번 대책을 통해 처벌 중심에서 예방과 회복 중심으로 전환을 완성하고, 학교폭력 없는 안전한 학교환경을 만들기 위해 앞으로도 정책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첨부

주요 분석 결과

1. 학교폭력 실태조사 피해 및 가해, 목격 응답 현황 (단위: %)

구분

설문 참여율

피해 응답률

가해 응답률

목격 응답률

전국

82.2

2.5

1.1

6.1

부산

91.3

2.6

1.2

6.1

2. 피해 응답률 현황 분석

‘25년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전체 피해 응답률은 2.6%, 2024 조사 대비 0.5% 증가하였다.

학교급별로는 5.4%, 1.9%, 0.6%로 조사되어, 2024년 조사 대비 초등학교는 1.0%, 중학교는 0.5%, 고등학교는 0.2% 증가하였으며,


전국 대비 부산의 학교급별 피해응답률은 초등학교 5.4%(전국대비 0.4% 높음), 중학교 1.9%(전국대비 0.2%낮음), 고등학교 0.6%(전국대비 0.1%낮음)로 중고등학생의 피해 응답률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학교폭력 피해 유형별 분석

학교폭력 피해유형은 언어폭력(38.2%), 따돌림(16.2%), 신체폭력(15.5%), 사이버폭력(7.1%) 순이며,

특히, 전년 동차 대비 금품갈취는 줄어든 반면 집단따돌림, 강요, 스토킹, 사이버폭력의 비율은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4. 학교폭력 가해학생 현황

같은 학교 같은 반 학생(48.2%), 같은 학교 다른 반 학생(29.9%), 같은 학교의 다른 학년 학생(8.2%), 다른 학교의 학생(6.0%), 기타(3.1%), 잘 모르는 사람(4.4%)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가해 학생의 78.1%가 같은 학교 학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5. 학교폭력 피해경험 장소 현황

학교 내 학교폭력 피해 경험 장소는 교실 안(28.1%), 복도(17.4%),

운동장(10.9%), 교내 다른 장소(특별실, 급식실, 매점 등 9.5%), 사이버(6.0%), 놀이터/골목(5.6%) 순으로 나타났으며, 교실 안(28.1%)이 가장 높았고 전체의 70.9%가 학교 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외부 장소에서의 학교폭력 피해 장소는 사이버공간(5.5%), 학원주변(5.7%), 놀이터와 골목(5.6%), , (3.9%), 기타(3.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6. 학교폭력 피해시간 현황

피해 시간쉬는 시간(30.4%)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점심시간(21.2%), 하교시간 이후(12.7%), 수업시간(10.4%), 하교시간(9.2%), 방과후 시간(4.5%) 등 순으로 나타났다.

7. 학교폭력 피해 사실을 알린 사람 현황

피해 학생들이 피해 사실을 알린 대상은 가족이나 보호자(36.4%)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 또는 선생님(36.9%), 친구나 선배 (13.5%), 알리지 않음(8.2%), 117신고센터 또는 전담경찰관(3.7%), 기타(1.3%)순으로 가족이나 보호자, 학교 또는 선생님을 통한 피해 사실 신고가 73.3%를 차지했다.

참고1

2025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전수조사) 주요 결과

조사 내용

주요 결과표

피해

응답률

구분

’211

’221

’231

’241

’251

피해응답률(%)

0.9

1.7

1.9

2.1

2.6

응답인원()

2,075

3,492

3,925

4,374

5,362

참여인원()

219,060

209,008

207,755

206,687

206,412

참여율

구분

’211

’221

’231

’241

’251

참여율(%)

96.8

92.5

92.6

91.9

91.3

참여인원()

219,084

209,036

207,788

206,727

206,412

조사대상()

226,267

225,946

224,363

225,067

226,275

피해

유형별

비율(%)

(복수응답, 건수기준)

구분

언어

폭력

강요

금품

갈취

신체

폭력

성폭력

사이버

폭력

스토킹

집단 따돌림

전체

38.2

5.9

5.3

15.5

5.9

7.1

5.8

16.2

37.0

6.3

5.7

16.6

5.9

6.5

6.9

14.9

39.9

5.0

4.6

13.8

5.7

8.0

3.7

19.3

44.7

5.4

4.0

10.4

6.2

9.6

3.1

16.7

가해자

유형

(%)

(복수응답, 건수기준)

구분

우리 학교 같은 반

우리 학교

같은 학년

다른 반

같은 학교

다른 학년

다른 학교

학생

잘 모르는

사람

기타

전체

48.2

29.9

8.2

6.0

4.4

3.1

46.7

29.7

9.5

5.8

5.0

3.3

50.7

30.1

5.8

7.2

3.3

3.0

54.0

32.0

5.2

3.4

3.4

1.9

피해

장소

(%)

(복수응답, 건수기준)

구분

학교 안 (70.9)

학교 밖 (26.7)

기타

교실안

복도, 계단

운동장, 강당

화장실

특별실방과후 교실 등

급식실, 매점 등

기숙사

공원,놀이터,골목,뒷산등

사이버

공간

학원, 학원

근처

,

집근처

학교밖

체험활동 장소

PC,

노래방,오락실등

전체

28.1

17.4

10.9

5.5

5.6

3.9

0.6

5.6

6.0

5.4

4.0

3.6

1.2

2.2

26.3

16.5

11.8

5.5

4.7

3.1

0.4

7.6

5.0

6.9

5.0

3.6

1.2

2.4

30.4

19.7

9.3

5.9

7.3

5.2

0.6

2.2

7.4

3.0

2.4

3.5

1.3

1.8

36.0

17.2

8.2

4.5

7.8

5.9

2.3

1.3

9.3

1.1

0.8

2.8

0.6

2.3

피해

시간

(%)

(복수응답, 건수기준)

구분

쉬는

시간

점심

시간

학교 일과가 아닌 시간

수업

시간

하교

시간

학교 안 방과후

시간

학교밖

체험 활동 시간

등교

시간

기타

전체

30.4

21.5

12.7

10.4

9.2

4.8

4.4

4.5

2.1

29.4

21.1

14.4

8.2

10.5

5.5

4.5

4.1

2.2

32.6

22.4

10.1

13.4

7.1

3.3

4.2

5.2

1.7

30.6

20.4

8.7

17.4

6.9

3.8

4.0

5.5

2.6

피해사실을

알린 사람

(%)

(복수응답, 건수기준)

구분

나의 보호자

학교

선생님

친구

후배

학교 상담실

선생님

117 학교폭력

신고

센터

학교 전담 경찰관, 경찰

학교밖

상담 기관

학교폭력

신고함, 학교 익명게시판

미신고

전체

주위에 알리거나 신고 (92.2)

8.2

36.4

29.5

13.5

5.9

2.2

1.5

1.3

1.5

38.9

27.9

13.4

4.0

2.5

1.2

1.0

1.7

9.5

32.4

32.0

13.5

8.9

2.0

1.8

1.7

1.2

6.6

31.0

32.5

14.3

10.3

0.9

2.5

2.4

1.5

4.6

피해

미신고

이유

(%)

구분

일이

커질 것

같아서

별일이

아니라고

생각해서

이야기해도

소용이

없을 것 같아서

스스로

해결하려고

더 괴롭힘을 당할 것 같아서

나의 보호자
(가족, 같이 사는 어른)나 선생님이 걱정하거나 속상해할까 봐

누구에게

(어디에) 도와달라고 해야 할지 몰라서

기타

전체

23.6

21.0

12.5

13.4

13.9

8.4

1.8

5.4

25.3

17.7

13.0

12.8

15.6

8.7

2.0

4.9

19.7

29.2

11.2

12.9

10.1

8.4

1.7

6.7

16.7

33.3

8.3

25.0

5.6

5.6

-

5.6

가해 경험

조사 내용

주요 결과표

가해

응답률

구분

전체

비율(%)

1.2

2.6

0.8

0.1

명수()

2,409

1,697

628

77

가해

유형별

비율(%)

(복수응답, 건수기준)

구분

언어

폭력

강요

금품

갈취

신체

폭력

성폭력

사이버

폭력

스토킹

집단 따돌림

전체

43.7

6.2

3.0

28.9

3.3

4.9

3.1

6.9

43.0

6.3

2.7

29.9

3.1

4.3

4.0

6.9

45.9

5.6

3.5

27.2

3.7

5.8

1.0

7.3

44.0

9.5

4.3

22.4

4.3

8.6

1.7

5.2

가해

이유

(%)

(복수응답, 건수기준)

구분

전체

장난이나 특별한 이유 없이

30.1

27.7

36.0

35.9

상대방(해당 학생)이 먼저 나를 괴롭혀서

29.2

32.4

23.1

14.5

상대방(해당 학생)과의 오해가 있거나 의견이 달라서

11.9

11.5

12.8

12.8

상대방(해당 학생)의 행동이 마음에 안 들어서

11.5

10.9

12.5

12.8

화풀이 또는 스트레스 때문에

6.4

6.7

5.2

10.3

다른 친구나 선·후배가 하니까

3.5

3.2

3.8

6.0

강해 보이려고

3.5

3.7

2.9

3.4

친구나 선·후배가 시켜서

2.5

2.5

2.3

2.6

나의 보호자(가족, 같이 사는 어른)나 선생님께 관심을 받고 싶어서

1.4

1.3

1.4

1.7

가해

지속

이유

(%)

(복수응답, 건수기준)

구분

전체

상대방(해당 학생)도 나를 계속 괴롭혀서

35.3

36.8

33.3

21.1

상대방(해당 학생)의 행동이 계속 마음에 안 들어서

14.1

13.6

13.3

31.6

친구나 선·후배들이 말리지 않아서

4.7

5.1

4.2

-

나의 보호자(가족, 같이 사는 어른)나 선생님께 관심을 받고 싶어서

1.7

1.6

1.7

-

상대방(해당 학생)과의 오해와 갈등이 해결되지 않아서

8.3

8.0

6.7

21.1

동조(같이)하거나 시키는 친구나 선·후배가 있어서

3.4

3.2

4.2

5.3

강해 보이려고

6.6

7.1

5.0

-

화풀이 또는 스트레스 때문에

7.8

7.6

7.5

10.5

나의 보호자(가족, 같이 사는 어른)나 선생님께 들키지 않아서

1.4

1.6

0.8

-

장난이나 특별한 이유 없이

16.7

15.4

23.3

10.5

가해

중단

이유

(%)

(복수응답, 건수기준)

구분

전체

다른 학생을 괴롭히는 말과 행동이 나쁜 것임을 알게 되어서

31.8

33.3

27.9

29.1

학교폭력 예방교육을 받고 나서

12.4

12.6

11.5

13.2

선생님과 면담하고 나서

13.9

12.6

16.6

19.2

나의 보호자(가족, 같이 사는 어른)가 걱정하거나 혼내서

10.2

10.4

9.7

7.9

상대방(해당 학생)과 화해하고 친해져서

15.1

16.2

13.1

9.9

상대방(해당 학생)이 싫다고 해서

10.6

11.0

10.2

6.6

친구나 선·후배들이 말려서

1.7

1.6

2.1

0.7

학교폭력으로 신고되어서

4.5

2.4

8.9

13.2

가해

방법

(%)

구분

단독

집단

전체

64.4

35.6

66.6

33.4

59.4

40.6

53.2

46.8

목격 경험

조사 내용

주요 결과표

목격

응답률

구분

전체

비율(%)

2.6

5.4

1.9

0.6

명수(천명)

5,362

3,563

1,418

365

목격 후

행동

(%)

구분

전체

피해학생을 위로하고 도와주었다.

35.5

36.3

33.9

35.6

가해자를 말렸다.

19.0

21.4

16.6

12.0

주변 어른들에게 알리거나 신고했다.

16.2

16.0

16.2

16.8

나도 같이 피해학생을 괴롭혔다.

1.0

1.0

0.9

1.1

아무 것도 하지 못했다.

28.4

25.3

32.4

34.4

목격 후 무행동

사유

(%)

구분

전체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서

32.4

36.7

27.5

28.1

가해자(때리거나 괴롭히는 사람)가 무서워서

19.4

24.1

15.3

10.6

나와 관계없는 일이어서

16.8

10.1

23.8

24.3

도와줘도 해결이 안 될 것 같아서

13.3

10.6

15.8

17.4

다른 친구나 선·후배들도 아무것도 하지 않아서

2.5

2.3

2.4

3.5

내가 아니라도 다른 누군가 도와줄 것 같아서

4.1

3.7

4.6

4.1

기타

11.6

12.4

10.4

12.0

학교폭력

목격 후

대처 방법

(%)

(복수응답, 건수기준)

구분

전체

나의 보호자(가족, 같이 사는 어른)에게 도움을 요청하겠다

17.5

17.5

17.1

17.7

학교 선생님에게 알리겠다

31.4

30.5

31.7

32.1

학교 상담실 선생님에게 알리겠다

10.1

8.1

10.3

11.9

학교폭력신고함이나 학교 익명게시판에 알리겠다

6.3

6.1

6.7

6.0

친구나 선·후배에게 도움을 요청하겠다

3.5

2.8

3.9

3.9

학교전담경찰관, 경찰(112)에 알리겠다

8.0

6.7

8.1

9.3

117 학교폭력신고센터, 어울림 앱에 알리겠다

7.5

8.2

7.3

7.0

학교 밖 상담 기관에 알리겠다

1.0

0.7

0.9

1.3

가해자(때리거나 괴롭히는 사람)를 말리겠다

4.5

5.4

4.3

3.8

피해학생(학교폭력 피해를 당하는 학생)을 위로하고 도와주겠다

10.3

13.9

9.7

7.0

첨부파일
다운로드 정보
  • 소속대변인

    연락처051-860-0213

    수정일2024-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