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으로
빠르게확인하세요!
공지사항
- 2025년도 지방공무원 경력경쟁임용시험(기술계고) 원서접수 최종 현황
-
2025년도 부산광역시 소재 기술계고등학교 졸업(예정)자 경력경쟁임용시험 원서접수 최종 현황입니다.첨부파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5.09.02
- 2025 교사와의 대화 주요 질의 및 정책 제안 결과 2025.08.12
- 2025년도 우수인재 수습직원 선발시험 원서접수 최종 현황(경력경쟁-상업계고) 2025.08.05
- 제19대 부산광역시교육감 공약이행평가단 모집 안내 2025.07.29
- 평생학습계좌제 및 온국민평생배움터 안내 2025.07.23
- 2025학년도 지역대학연계 심화코딩교육 운영 위탁용역 제안서 평가위원(후보자) 모집 공고
-
2025학년도 지역대학연계 심화코딩교육 운영 위탁용역 제안서 평가위원(후보자) 모집 공고1. 모집기간: 2025. 9. 15.(월) ~ 9. 19.(금) 16:002. 모집인원: 21명3. 모집분야: 교육 및 IT, AI 등 에듀테크, 교육연수 관련 분야4. 평가위원 추첨: 2025. 9. 23.(월) 17:005. 제출 서식 및 방법: 첨부파일 참조6. 제안서 평가위원회 개최: 2025. 9. 25.(목) 14:00~16:00(입찰 사정에 따라 평가위원회 개최는 변경될 수 있습니다.) 첨부파일: 2025학년도 지역대학연계 심화코딩교육 위탁용역 제안서 평가위원(후보자) 모집 공고문 1부. 끝.
2025.09.15
- 「부산광역시교육청 문자해득교육 프로그램 설치·지정 및 운영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규칙안 입법예고문 2025.09.15
- 부산광역시립학교 설치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입법예고 공고 2025.09.15
- 부산광역시 교육비특별회계 소관 물품 관리 조례 시행규칙 전부개정규칙안 입법예고 2025.09.12
- 2021학년도 유아학비 지원금 반납 독촉 공시송달 공고 2025.09.10
- 부산, 1학기 학교폭력 신고 건수, 전년 대비 11.2% 감소
-
○ 부산 각급학교의 올해 1학기 학교폭력 신고건수(1,413건)가 지난해 같은 기간(1,592건)에 비해 11.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부산시교육청의 예방 중심 학교폭력 정책과 관계회복 문화 확산 노력이 학교폭력 신고 건수 감소로 이어지며, 학교 현장에서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다는 분석이다. ○ 부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김석준)은 17개 시·도 교육청이 공동으로 실시한 ‘2025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전수조사)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지난 4월 14일부터 5월 13일까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시·도 교육청으로부터 위탁을 받아 온라인으로 실시했다. 부산시 내 초·중·고·특수·각종학교 633교의 초등 4학년부터 고등 3학년까지의 학생 22만 6,275명 중 20만 6,412명이 참여해 참여율은 91.3%로 나타났다. ○ 이번 실태조사(2024년 2학기부터 2025년 5월까지의 경험)에서 부산지역의 2025년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은 2.6%로, 지난해 2.1%에 비해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 피해 유형은 언어폭력(38.2%), 집단따돌림(16.2%), 신체폭력(15.5%), 사이버폭력(7.1%) 순으로 조사됐다. 학교급별 피해응답률은 중학교 1.9%(전국대비 0.2%p), 고등학교 0.7%(전국대비 0.1%p)로 전국대비 낮으나, 초등학교는 5.4%로 0.4%p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이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마음건강 악화와 대인관계·갈등관리의 어려움이 학교폭력으로 확산되고, 경미한 사안까지 적극적으로 신고되는 문화가 정착된 결과로 분석된다. 특히 초등 저학년 피해율 상승, 언어폭력 증가, SNS 기반의 신·변종 사이버폭력 확산이 주요 특징으로 나타났다. 결국 피해응답률의 증가는 학교폭력 자체가 늘었다기보다 학교폭력 예방교육 확산으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이 높아지고 적극적인 신고 문화가 자리잡은 결과로 해석된다. ○ 부산시교육청은 이번 실태조사 결과와 성과를 바탕으로 학교폭력 예방대책을 더 강화하기로 했다. 올해는 ‘학생과 교육공동체를 회복·치유하는 교육적 해결 강화’를 정책 방향으로, ‘1교 1건씩! 관계회복으로 자체해결 Up, 심의 Down’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워 학교폭력 대응체계를 전환했다. 내년에는 이를 한층 발전시켜 학교가 스스로 갈등을 해결하고 교육공동체가 함께 회복하는 문화를 확산시킬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학교장·생활부장 연수를 통해 정책을 공유하고 실행력을 높이며, 회복적 서클 프로그램 운영, 관계회복지원단 연수 확대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초등학교 저학년(1~3학년)을 대상으로 경미한 사안의 관계회복 숙려기간 시범사업을 운영해 학생들의 자기 성찰과 감정 조절 능력을 길러준다. ○ 학교폭력 예방교육도 한층 강화한다. 초등 인성교육과 연계한 언어문화개선 프로그램, 중·고등학교 교육과정 연계 언어순화운동 의무화, 「말·글·맘」 프로젝트 추진 및 언어폭력 예방 주간(10월) 운영을 통해 언어폭력 차단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교육과정과 연계한 정보윤리교육 10차시 의무 편성, 사이버폭력 예방 주간(6월), 사이버 도박 예방 특강 등을 통해 건강한 온라인 문화를 확산시킬 예정이다. ○ 가정과의 협력도 강화한다. ‘찾아가는 학부모 교육’을 확대하고, ‘학부모를 위한 학교폭력 궁금증 해소’ 책자를 배포해 학부모의 이해와 참여를 높이며, 학교전담경찰관(SPO)과 협력해 맞춤형 예방교육을 실시한다. ○ 이와 함께, ‘학교폭력 책임규약’을 기반으로 교원 대상 역량 강화 연수를 운영하고, 사회정서교육 및 인성·체육·예술 통합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건강한 학교문화를 조성한다. 또‘학교폭력 ZERO! 만들기’ 사업과 ‘어깨동무 운영학교’를 통해 학생 주도의 또래활동을 적극 지원한다. ○ 김석준 교육감은 “이번 대책을 통해 처벌 중심에서 예방과 회복 중심으로 전환을 완성하고, 학교폭력 없는 안전한 학교환경을 만들기 위해 앞으로도 정책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첨부 주요 분석 결과1. 학교폭력 실태조사 피해 및 가해, 목격 응답 현황 (단위: %)구분설문 참여율피해 응답률가해 응답률목격 응답률전국82.22.51.16.1부산91.32.61.26.1 2. 피해 응답률 현황 분석□ ‘25년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전체 피해 응답률은 2.6%로, 2024년 조사 대비 0.5% 증가하였다. □ 학교급별로는 초 5.4%, 중 1.9%, 고 0.6%로 조사되어, 2024년 조사 대비 초등학교는 1.0%, 중학교는 0.5%, 고등학교는 0.2% 증가하였으며, □ 전국 대비 부산의 학교급별 피해응답률은 초등학교 5.4%(전국대비 0.4% 높음), 중학교 1.9%(전국대비 0.2%낮음), 고등학교 0.6%(전국대비 0.1%낮음)로 중‧고등학생의 피해 응답률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학교폭력 피해 유형별 분석 □ 학교폭력 피해유형은 언어폭력(38.2%), 따돌림(16.2%), 신체폭력(15.5%), 사이버폭력(7.1%) 순이며, □ 특히, 전년 동차 대비 금품갈취는 줄어든 반면 집단따돌림, 강요, 스토킹, 사이버폭력의 비율은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4. 학교폭력 가해학생 현황 □ 같은 학교 같은 반 학생(48.2%), 같은 학교 다른 반 학생(29.9%), 같은 학교의 다른 학년 학생(8.2%), 다른 학교의 학생(6.0%), 기타(3.1%), 잘 모르는 사람(4.4%)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가해 학생의 78.1%가 같은 학교 학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5. 학교폭력 피해경험 장소 현황 □ 학교 내 학교폭력 피해 경험 장소는 교실 안(28.1%), 복도(17.4%), 운동장(10.9%), 교내 다른 장소(특별실, 급식실, 매점 등 9.5%), 사이버(6.0%), 놀이터/골목(5.6%) 순으로 나타났으며, 교실 안(28.1%)이 가장 높았고 전체의 70.9%가 학교 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교 외부 장소에서의 학교폭력 피해 장소는 사이버공간(5.5%), 학원주변(5.7%), 놀이터와 골목(5.6%), , 집(3.9%), 기타(3.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6. 학교폭력 피해시간 현황 □ 피해 시간은 쉬는 시간(30.4%)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점심시간(21.2%), 하교시간 이후(12.7%), 수업시간(10.4%), 하교시간(9.2%), 방과후 시간(4.5%) 등 순으로 나타났다.7. 학교폭력 피해 사실을 알린 사람 현황 □ 피해 학생들이 피해 사실을 알린 대상은 가족이나 보호자(36.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 또는 선생님(36.9%), 친구나 선배 (13.5%), 알리지 않음(8.2%), 117신고센터 또는 전담경찰관(3.7%), 기타(1.3%)의 순으로 가족이나 보호자, 학교 또는 선생님을 통한 피해 사실 신고가 73.3%를 차지했다.참고1 2025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전수조사) 주요 결과조사 내용주요 결과표피해응답률구분’21년 1차 ’22년 1차’23년 1차’24년 1차’25년 1차피해응답률(%)0.91.71.92.12.6응답인원(명)2,075 3,492 3,925 4,374 5,362 참여인원(명)219,060 209,008 207,755 206,687 206,412 참여율구분’21년 1차’22년 1차’23년 1차’24년1차’25년 1차참여율(%)96.892.592.691.991.3참여인원(명)219,084209,036207,788206,727206,412조사대상(명)226,267225,946224,363225,067226,275피해유형별비율(%) (복수응답, 건수기준)구분언어폭력강요금품갈취신체폭력성폭력사이버폭력스토킹집단 따돌림전체38.2 5.9 5.3 15.5 5.9 7.1 5.8 16.2 초37.0 6.3 5.7 16.6 5.9 6.5 6.9 14.9 중39.9 5.0 4.6 13.8 5.7 8.0 3.7 19.3 고44.7 5.4 4.0 10.4 6.2 9.6 3.1 16.7 가해자유형(%) (복수응답, 건수기준)구분우리 학교 같은 반 우리 학교같은 학년다른 반같은 학교다른 학년다른 학교학생잘 모르는사람기타전체48.2 29.9 8.2 6.0 4.4 3.1 초46.7 29.7 9.5 5.8 5.0 3.3 중50.7 30.1 5.8 7.2 3.3 3.0 고54.0 32.0 5.2 3.4 3.4 1.9 피해장소(%) (복수응답, 건수기준)구분학교 안 (70.9)학교 밖 (26.7)기타교실안복도, 계단운동장, 강당등화장실특별실방과후 교실 등급식실, 매점 등기숙사공원,놀이터,골목,뒷산등사이버공간학원, 학원근처집,집근처학교밖체험활동 장소PC,노래방,오락실등전체28.1 17.4 10.9 5.5 5.6 3.9 0.6 5.6 6.0 5.4 4.0 3.6 1.2 2.2 초26.3 16.5 11.8 5.5 4.7 3.1 0.4 7.6 5.0 6.9 5.0 3.6 1.2 2.4 중30.4 19.7 9.3 5.9 7.3 5.2 0.6 2.2 7.4 3.0 2.4 3.5 1.3 1.8 고36.0 17.2 8.2 4.5 7.8 5.9 2.3 1.3 9.3 1.1 0.8 2.8 0.6 2.3 피해시간(%) (복수응답, 건수기준)구분쉬는시간점심시간학교 일과가 아닌 시간수업시간하교시간학교 안 방과후시간학교밖체험 활동 시간등교시간기타전체30.4 21.5 12.7 10.4 9.2 4.8 4.4 4.5 2.1 초29.4 21.1 14.4 8.2 10.5 5.5 4.5 4.1 2.2 중32.6 22.4 10.1 13.4 7.1 3.3 4.2 5.2 1.7 고30.6 20.4 8.7 17.4 6.9 3.8 4.0 5.5 2.6 피해사실을알린 사람(%) (복수응답, 건수기준)구분나의 보호자학교선생님친구선‧후배학교 상담실선생님117 학교폭력신고센터학교 전담 경찰관, 경찰학교밖상담 기관학교폭력신고함, 학교 익명게시판미신고전체주위에 알리거나 신고 (92.2)8.2 36.4 29.5 13.5 5.9 2.2 1.5 1.3 1.5 초38.9 27.9 13.4 4.0 2.5 1.2 1.0 1.7 9.5 중32.4 32.0 13.5 8.9 2.0 1.8 1.7 1.2 6.6 고31.0 32.5 14.3 10.3 0.9 2.5 2.4 1.5 4.6 피해미신고이유(%)구분일이커질 것같아서별일이 아니라고 생각해서이야기해도소용이없을 것 같아서스스로 해결하려고더 괴롭힘을 당할 것 같아서나의 보호자 (가족, 같이 사는 어른)나 선생님이 걱정하거나 속상해할까 봐누구에게(어디에) 도와달라고 해야 할지 몰라서기타전체23.6 21.0 12.5 13.4 13.9 8.4 1.8 5.4 초25.3 17.7 13.0 12.8 15.6 8.7 2.0 4.9 중19.7 29.2 11.2 12.9 10.1 8.4 1.7 6.7 고16.7 33.3 8.3 25.0 5.6 5.6 -5.6 □ 가해 경험조사 내용주요 결과표가해응답률구분전체초중고비율(%)1.2 2.6 0.8 0.1 명수(명)2,409 1,697 628 77 가해유형별비율(%) (복수응답, 건수기준)구분언어폭력강요금품갈취신체폭력성폭력사이버폭력스토킹집단 따돌림전체43.7 6.2 3.0 28.9 3.3 4.9 3.1 6.9 초43.0 6.3 2.7 29.9 3.1 4.3 4.0 6.9 중45.9 5.6 3.5 27.2 3.7 5.8 1.0 7.3 고44.0 9.5 4.3 22.4 4.3 8.6 1.7 5.2 가해이유(%) (복수응답, 건수기준)구분전체초중고장난이나 특별한 이유 없이30.127.736.035.9상대방(해당 학생)이 먼저 나를 괴롭혀서29.232.423.114.5상대방(해당 학생)과의 오해가 있거나 의견이 달라서11.911.512.812.8상대방(해당 학생)의 행동이 마음에 안 들어서11.510.912.512.8화풀이 또는 스트레스 때문에6.46.75.210.3다른 친구나 선·후배가 하니까3.53.23.86.0강해 보이려고3.53.72.93.4친구나 선·후배가 시켜서2.52.52.32.6나의 보호자(가족, 같이 사는 어른)나 선생님께 관심을 받고 싶어서1.41.31.41.7가해지속이유(%) (복수응답, 건수기준)구분전체초중고상대방(해당 학생)도 나를 계속 괴롭혀서35.336.833.321.1상대방(해당 학생)의 행동이 계속 마음에 안 들어서14.113.613.331.6친구나 선·후배들이 말리지 않아서4.75.14.2-나의 보호자(가족, 같이 사는 어른)나 선생님께 관심을 받고 싶어서1.71.61.7-상대방(해당 학생)과의 오해와 갈등이 해결되지 않아서8.38.06.721.1동조(같이)하거나 시키는 친구나 선·후배가 있어서3.43.24.25.3강해 보이려고6.67.15.0-화풀이 또는 스트레스 때문에7.87.67.510.5나의 보호자(가족, 같이 사는 어른)나 선생님께 들키지 않아서1.41.60.8-장난이나 특별한 이유 없이16.715.423.310.5가해중단이유(%) (복수응답, 건수기준)구분전체초중고다른 학생을 괴롭히는 말과 행동이 나쁜 것임을 알게 되어서31.833.327.929.1학교폭력 예방교육을 받고 나서12.412.611.513.2선생님과 면담하고 나서13.912.616.619.2나의 보호자(가족, 같이 사는 어른)가 걱정하거나 혼내서10.210.49.77.9상대방(해당 학생)과 화해하고 친해져서15.116.213.19.9상대방(해당 학생)이 싫다고 해서10.611.010.26.6친구나 선·후배들이 말려서1.71.62.10.7학교폭력으로 신고되어서4.52.48.913.2가해방법(%)구분단독집단전체64.435.6초66.633.4중59.440.6고53.246.8 □ 목격 경험 조사 내용주요 결과표목격응답률구분전체초중고비율(%)2.6 5.4 1.9 0.6 명수(천명)5,362 3,563 1,418 365 목격 후행동(%)구분전체초중고피해학생을 위로하고 도와주었다.35.536.333.935.6가해자를 말렸다.19.021.416.612.0주변 어른들에게 알리거나 신고했다.16.216.016.216.8나도 같이 피해학생을 괴롭혔다.1.01.00.91.1아무 것도 하지 못했다.28.425.332.434.4목격 후 무행동 사유(%)구분전체초중고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서32.436.727.528.1가해자(때리거나 괴롭히는 사람)가 무서워서19.424.115.310.6나와 관계없는 일이어서16.810.123.824.3도와줘도 해결이 안 될 것 같아서13.310.615.817.4다른 친구나 선·후배들도 아무것도 하지 않아서2.52.32.43.5내가 아니라도 다른 누군가 도와줄 것 같아서4.13.74.64.1기타11.612.410.412.0학교폭력목격 후대처 방법(%) (복수응답, 건수기준)구분전체초중고나의 보호자(가족, 같이 사는 어른)에게 도움을 요청하겠다17.517.517.117.7학교 선생님에게 알리겠다31.430.531.732.1학교 상담실 선생님에게 알리겠다10.18.110.311.9학교폭력신고함이나 학교 익명게시판에 알리겠다6.36.16.76.0친구나 선·후배에게 도움을 요청하겠다3.52.83.93.9학교전담경찰관, 경찰(112)에 알리겠다8.06.78.19.3117 학교폭력신고센터, 어울림 앱에 알리겠다7.58.27.37.0학교 밖 상담 기관에 알리겠다1.00.70.91.3가해자(때리거나 괴롭히는 사람)를 말리겠다4.55.44.33.8피해학생(학교폭력 피해를 당하는 학생)을 위로하고 도와주겠다10.313.99.77.0
2025.09.16
- 부산교육청, 회계사고 근절을 위해‘입․출금 제한계좌’쓴다 2025.09.16
- 부산교육청, 세대와 현장을 잇는 청렴의 하모니를 만들다 2025.09.16
- 부산교육청, 2026년 주요업무계획 수립 종합보고회 개최 2025.09.16
- 부산교육청, 독서의 달 맞아 다양한 문화 축제 개최 2025.09.16
- 부산여상 2025년 10월 식재료 (소액수의)구매 공고
-
2025년 10월분 학교급식품 구매를 위하여 학교급식전자조달시스템에 아래와 같이 공고합니다. 1. 입찰서 제출기간 : 2025년 9월 16일 14:00 ~ 2025년 9월 23일 13:00 2. 공고번호 및 기초금액 가. 농수공잡곡류: 제E250916-507661-0호/22,162,317원 나. 김치류: 제E250916-507664-0호/589,600원 다. 육 류: 제E250916-507589-0호/933,650원 3. 개찰일시 : 2025년 9월 23일 14:00
2025.09.16
- 2026학년도 덕원중학교 교복(동복,하복) 학교주관 구매 입찰공고 2025.09.16
- 2025학년도 성일여자고등학교 2학년 수학여행 용역 입찰 결과 2025.09.16
- 2026학년도 지사중학교 교복(동복·하복) 학교주관구매 입찰 공고 2025.09.15
- 2026학년도 한바다중학교 교복(동·하복) 학교주관구매 입찰 공고 개찰 결과 알림 2025.09.11
- 2026학년도 학교법인 동해학원(해운대중,고등학교)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공고(약식)
-
2026학년도 학교법인 동해학원(해운대중학교, 해운대고등학교) 중등학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공고입니다. 1. 선발예정과목 및 선발예정인원 : 도덕·윤리 1명, 역사 1명, 수학 1명, 물리 1명 2. 응시원서 인터넷 접수 : 2025. 10. 13.(월) 09:00 ~ 10. 17.(금) 18:00【 5일간 】 ※ 우리 법인은 공립사립 동시지원 가능 3. 시험일정 및 방법은 첨부 공고문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5년 9월 16일 학교법인동해학원이사장
2025.09.16
- 2025학년도 양동초 한시적 특수학급 시간강사 채용 2차 공고(9.16.~9.18.) 2025.09.16
- 2026학년도 학교법인 송천학원(해운대여자중학교) 중등학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공고[약식] 2025.09.16
- 2026학년도 학교법인 원효학원(해동중학교)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공고(약식) 2025.09.16
- 2026학년도 학교법인 대저학원(대저중학교)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공고 2025.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