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광역시교육청(김석준 교육감)은 지난 8월 21일부터 9월 5일까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원서 접수 결과, 부산의 지원자 수가 지난해보다 1,527명(5.6%) 증가한 28,883명이라고 9일 밝혔다.
○ 지원자 중 졸업예정자는 19,952명으로 지난해보다 1,794명(9.9%)이 증가했다. 졸업생은 7,609명으로 367명(4.6%)이 감소했고, 검정고시생은 1,322명으로 100명(8.2%)이 증가했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국어와 수학 영역은 ‘공통과목+선택과목’ 구조로 시행한다. 전체 응시자 중 국어 영역 선택과목인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를 선택한 응시자는 각각 19,047명(65.9%)과 9,535명(33.0%)으로 나타났다.
또, 전체 응시자 중 수학 영역 선택과목인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를 선택한 응시자는 각각 14,636명(50.7%), 11,587명(40.1%), 968명(3.4%)으로 나타났다.
○ 탐구영역은 계열 구분 없이 최대 2과목을 선택하여 응시할 수 있는데, 전체 응시자 중 사회탐구 과목만을 선택한 응시자는 16,657명(57.7%), 과학탐구 과목만을 선택한 응시자는 8,301명(28.7%), 두 영역을 조합해 응시한 수험생은 3,047명(10.5%)으로 나타났다. 수험생 대부분은 2과목 응시를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탐구영역별 주요 선택 과목 지원 현황을 보면, 사회탐구는 생활과윤리>
사회․문화>윤리와사상>한국지리 순으로, 과학탐구는 지구과학Ⅰ>생명과학Ⅰ>물리학Ⅰ>화학Ⅰ 순으로 지원자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직업탐구는 응시 인원이 지난해에 비해 5명(5.8%)이 증가한 92명이 지원하였다. 제2외국어는 4,022명으로 지난해 3,661명보다 361명(9.9%)이 늘었다.
○ 부산교육청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수능시험 지원자를 확정하면, 지원자를 대상으로 시험장 배치, 수험번호 부여 등 수능 업무를 본격 추진할 방침이다.
※ 첨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지원 현황표
부산광역시교육청 중등교육과
□ 지원 현황
○ 2025/2026 지원 현황 비교표(단위: 명)
구분 | 졸업 예정 | 졸업 | 검정고시 | 계 |
2025 | 18,158(66.4%) | 7,976(29.2%) | 1,222(4.5%) | 27,356(100%) |
2026 | 19,952(69.1%) | 7,609(26.3%) | 1,322(4.6%) | 28,883(100%) |
증감 | +1,794 | -367 | +100 | +1,527 |
○ 2026 영역별 지원 현황(단위: 명)
구분 | 국어 | 수학 | 영어 |
화법과 작문 | 언어와 매체 | 계 | 확률과 통계 | 미적분 | 기하 | 계 |
2025 | 17,636 (64.5%) | 9,546 (34.9%) | 27,182 (99.4%) | 11,316 (41.4%) | 13,926 (50.9%) | 819 (3.0%) | 26,061 (95.3%) | 27,054 (98.9%) |
2026 | 19,047 (65.9%) | 9,535 (33.0%) | 28,582 (99.0%) | 14,636 (50.7%) | 11,587 (40.1%) | 968 (3.4%) | 27,191 (94.2%) | 28,349 (98.2%) |
전년대비 | +1.4%P | -1.9%P | -0.4%P | +9.3%P | -10.8%P | +0.4%P | -1.1%P | -0.7%P |
구분 | 한국사 | 탐구영역 | 제2외국어/한문 |
사탐 | 과탐 | 사‧과탐 | 직탐 | 계 |
2025 | 27,356 (100%) | 13,500 (49.3%) | 11,476 (42.0%) | 1,715 (6.3%) | 87 (0.3%) | 26,778 (97.9%) | 3,661 (13.4%) |
2026 | 28,883 (100%) | 16,657 (57.7%) | 8,301 (28.7%) | 3,047 (10,5%) | 92 (0.3%) | 28,097 (97.3%) | 4,022 (13.9%) |
전년대비 | - | +8.4%P | -13.3%P | +4.2%P | - | -0.6%P | +0.5%P |
※ 영역별 비율은 전체 응시자에 대한 각 영역의 비율을 의미함
○ 2026 탐구영역 주요 선택과목별(지원율 상위 4과목) 지원 현황
구분 | 사회 탐구(사·과탐 영역 선택자 선택과목 미포함) |
생활과 윤리 | 사회·문화 | 윤리와사상 | 한국지리 |
인원 수(명) | 11,576 | 11,231 | 2,689 | 2,004 |
비율 | 69.5% | 67.43% | 16.14% | 12.03% |
전년대비 | -0.2%P | +1.5%P | -1.6%P | -0.7%P |
구분 | 과학 탐구(사·과탐 영역 선택자 선택과목 미포함) |
지구과학Ⅰ | 생명과학Ⅰ | 물리학Ⅰ | 화학Ⅰ |
인원 수(명) | 5,660 | 5,648 | 2,372 | 1,923 |
비율 | 68.18% | 68.04% | 28.57% | 23.17% |
전년대비 | -1.0%P | -1.2%P | +3.8%P | -4.8%P |
※ 과목별 비율은 사회·과학 각 영역 지원 인원에 대한 각 과목 지원자의 비율을 의미함
○ 2026 제2외국어/한문 선택과목별 지원 현황
구분 | 일본어Ⅰ | 한문Ⅰ | 중국어Ⅰ | 아랍어Ⅰ |
인원 수(명) | 1,514 | 852 | 442 | 342 |
비율 | 37.6% | 21.2% | 11.0% | 8.5% |
전년대비 | -0.7%P | -0.7%P | -0.4%P | -2.2%P |
※ 과목별 비율은 제2외국어·한문 영역 지원 인원에 대한 각 과목 지원자의 비율을 의미함
○ 2026 탐구영역 선택과목수별 지원 현황
구분 | 사회 탐구 | 과학 탐구 | 사회+과학 | 직업탐구 |
2과목 | 1과목 | 2과목 | 1과목 | 2과목 | 2과목 | 1과목 |
인원 수(명) | 16,282 | 375 | 8,254 | 47 | 3,047 | 85 | 7 |
비율 | 57.9% | 1.3% | 29.4% | 0.2% | 10.8% | 0.3% | 0.0% |
※ 비율은 탐구 영역 지원 인원(28,097명)에 대한 세부 항목별 지원자의 비율을 의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