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교육청은 학생들이 학습에 집중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학교 현장의 수요와 여건에 맞춘 공간 재구조화를 추진하고 있다.
각 학교는 학생들이 자기주도학습에 참여하고 학습 동기를 높여 학력 증진으로 이어질 수 있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카페형 학습 공간, 다목적 공간, 학생 휴게 공간 등의 다양한 공간을 조성했다.
직접 공간을 사용할 학생, 학부모, 교직원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고 선진 기관을 방문하는 등 학교 개별 자가 진단 후 시나리오를 구상하고 환경을 개선했다.
학교별로 학생들과 함께 고민하고 의견을 반영하여 탄생한 공간을 소개한다.
기장고등학교
기장고등학교는 학생회 및 동아리 회의 장소와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도서관과 모둠 활동 공간을 조성했다.
도서관은 책을 읽고 토론할 수 있도록 공간을 조성했고 다목적 토의공간은 다양한 형태의 좌석을 배치하여 자유롭고 허용적인 분위기 속에서 소통할 수 있도록 공간을 구성했다.
구덕고등학교
구덕고등학교는 도서관과 카페형 학습 공간을 나란히 배치하여 학생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편안한 학습과 독서를 할 수 있는 문화 공간을 조성했다. 구덕고의 스터디카페는 자율학습, 독서뿐만 아니라 다양한 동아리 등
문화 활동을 할 수 있다.
공강학습실은 이동 수업 시 동선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학년별로 조성되었고 일과 중에는 선택 과목 수업 공간으로 활용되며 일과 후에는 학생 대상 특강 등 방과후 활동 공간으로도 사용된다.
해운대여자고등학교
해운대여자고등학교는 한 공간에서 편안하게 휴식하고, 학생 팀별 과제 수행 및 활동도 가능한 다목적 홈베이스를 구축했다.
다목적 홈베이스은 기존 매점 공간 일부와 특강실, 체력단련실을 통합하여 25명 이상의 인원이 토의하고 학습할 수 있는 공간, 카페형 학습 공간, 소규모 공연용 무대까지 설치했다.
학생들은 이곳에서 학습뿐만 아니라 학업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끼를 발산할 수 있는 기회도 가진다.
경혜여자고등학교
경혜여자고등학교는 학생들이 교내에서 자기주도적 학습을 하고싶은 마음이 생기도록 쾌적한 카페형 학습실을 구축했다.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넓은 자습실과 유리 칸막이로 둘러진 1인용 공간 등 각자의 성향에 맞게 이용할 수 있다.
홈베이스는 학생들의 동선을 고려하여 학년 별로 구축했다. 많은 인원이 모여 활동할 수 있는 큰 테이블과 소수의 인원이 활동에 집중할 수 있는 공간으로 나누어 상황에 맞게 활용하고 학생들이 휴식도 취할 수 있도록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