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교육공동체
학교와 지역의 만남, 마을교육공동체란?
- 넓은 의미(큰마을) 학교와 마을이 아이들을 함께 키우고 마을이 아이들의 배움터가 되도록 학교와 마을,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학부모와 시민사회가 협력하고 연대하는 교육생태계
- 좁은 의미(작은마을) 마을의 아이(청소년)들을 함께 키우고, 마을의 주인으로 성장하도록 하기 위한 공동체(단체)
※ 예: ○○마을학교, ○○마을교육공동체, ○○학교협동조합 등
마을교육공동체는 어떻게 운영되나요?
- 지역 특성에 맞는 마을교육공동체 조성 지원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마을교육공동체 공모사업과 성장지원단을 구성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 마을교육공동체 구성원들의 역량강화를 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집합 및 원격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다행복교육지구와 유기적 협력을 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다행복교육지구별 마을교육공동체 네트워크 지원 및 민·관·학 거버넌스에 적극적 참여를 권장합니다.
마을교육공동체 공모사업 선정·운영
- 부산마을교육공동체 공모사업 운영
2022년 다행복교육지구 예산 운영 현황에 대한 년도, 2018, 2019, 2020, 2021, 2022 순의 표
년도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공모선정 단체수 |
23 |
30 |
32 |
40 |
64 |
※ 단체별 사업비 10,000천원 이내 지원
- 2022 부산마을교육공동체 공모사업 선정단체 현황
(단위: 단체수)
2022 부산마을교육공동체 공모사업 선정단체 현황에 대한 주관, 다행복교육지구, 다행복교육지구 외, 합계 순의 표
주관 |
다행복교육지구 |
다행복교육지구 외 |
합계 |
구분 |
사하구 |
영도구 |
서구 |
부산진구 |
동구 |
사상구 |
북구 |
금정구 |
연제구 |
동래구 |
해운대구 |
강서구 |
기장군 |
남구 |
수영구 |
중구 |
시작단계 |
|
|
|
|
|
|
|
|
|
3 |
|
3 |
2 |
1 |
1 |
|
10 |
성장단계 |
4 |
3 |
2 |
10 |
3 |
4 |
4 |
4 |
4 |
2 |
3 |
1 |
1 |
3 |
1 |
1 |
50 |
돌봄중심 |
|
|
|
1 |
|
|
1 |
|
|
2 |
|
|
|
|
|
|
4 |
합계 |
4 |
3 |
2 |
11 |
3 |
4 |
5 |
4 |
4 |
7 |
3 |
4 |
3 |
4 |
2 |
1 |
64 |
※ 2022 다행복교육지구 자체 공모(씨앗마을교육공동체 등) 단체 현황
2022 다행복교육지구 자체 공모(씨앗마을교육공동체 등) 단체 현황에 대한 다행복교육지구, 사하구, 동구, 부산진구, 북구, 사상구, 연제구 순의 표
다행복교육지구 |
사하구 |
동구 |
부산진구 |
북구 |
사상구 |
연제구 |
단체수 |
8 |
5 |
9 |
15 |
7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