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를 부탁해
깨끗한 물과
함께하는 삶
안영주 학리기후변화교육센터 파견교사
언제든 수도꼭지를 돌리면 콸 콸 나오는 깨끗한 물, 이 물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하천과 댐 ·호수의 물이 정수처리 과정을 거치면 사람이 마실 수 있는 깨끗한 물이 된다. 먼저 취수장 에 모인 물은 정수장으로 보내진다. 여기에 약품을 넣어 물 속의 작은 물질들을 덩어리로 만들고(응집), 가라앉힌 후(침 전), 모래와 자갈층을 통과시켜 거르고(여과) 물속에 남아있 는 세균을 없애기 위한 소독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 외에도 화학물질, 녹조 등의 문제가 발생할 때는 막여과, 오존, 활성 탄 등을 이용하는 고도정수처리가 필요하다. 이렇게 깨끗이 정수된 물을 사용한 뒤에 생기는 생활 하수 나 산업 폐수 등 오염된 물은 바로 강이나 하천으로 흘러가 지 않고 하수처리장으로 보내진다. 하수처리장은 더러워진 물을 여러 처리 과정을 거쳐 다시 깨끗하게 만드는 곳으로, 부산은 13개의 하수처리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모래나 찌꺼 기 등을 걸러내는 침사지, 물 위에 뜨는 물질과 가라앉는 물 질을 분리하여 처리하는 최초 침전지, 미생물이 오염 물질을 분해하고 섭취하는 생물 반응조, 생물 반응조의 미생물 덩어 리를 가라앉혀 맑은 물을 걸러내는 최종 침전지, 최종 처리 된 물을 소독하는 소독조까지 차례대로 거쳐 깨끗해진 물은 비로소 강이나 바다로 흘러간다.
여러 정수 과정을 거쳐 우리 집으로 오는 수돗물을 부산 사람들은 얼마나 마시고 있을 까? 2020년 부산광역시 상수 도사업본부에서 조사한 결과 수돗물을 직접 음용(그대로 마시거나, 끓여서 마심), 간접 음용(정수기)하는 사람의 비 율은 79%로 생수나 지하수를 이용하는 시민보다 높았다. 하지만 직접 음용한다고 응답한 사람 중 수돗물을 그대로 마신다고 응답한 사람은 0명으로 물탱크 및 수도관 문제와 상수원 불신이 큰 이유였다. 상수원 불신의 원인에는 녹조 현상에 대한 우려도 있다. 녹 조 현상은 영양물질의 급격한 증가(부영양화)로 조류가 과 다하게 증식한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에 녹조 현상을 일으 키는 것은 주로 남조류인데, 이것은 미량의 독소 물질을 배 출한다. 부영양화의 원인은 가정에서 배출되는 각종 세제류 가 섞인 생활 하수, 공장에서 나오는 폐수, 그리고 길가에 버려진 쓰레기, 먼지 등인데 오염 물질 속 질소와 인은 조류 를 성장시킨다. 따라서 생활 속에서 사용하는 합성세제의 양을 줄이거나 친환경세제를 사용하고 음식물을 남기지 않 는 실천이 녹조 현상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물 오염은 발생하는 지점에 따라 점 오염과 비점 오염으로 나눌 수 있다. 점 오염은 가정과 공장처럼 일정한 곳에서 집 중적으로 배출되는 것으로 관을 따라 하수처리장, 폐수처리 장으로 보내진다. 하지만 문제는 길가에 버려진 쓰레기, 담 배꽁초, 농약, 비료와 같이 일정하지 않은 장소에서 배출되 는 비점 오염이다. 비가 내리면 오염 물질이 빗물과 함께 하 천에 흘러 들어가고, 오염 물질의 농도가 높을 때는 물고기 의 집단 폐사가 일어나기도 한다. 우리 주변의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생물들을 위해 비점 오염을 줄이도록 생활 속에 서 계속 노력해야 한다.
지구 전체에 있는 물 중에서 우리가 실제로 사용할 수 있 는 물의 양은 0.01%에도 미치 지 않는다. 그래서 물을 아껴 써야 한다는 말을 자주 듣는데, 보통은 물을 마시거나 몸을 씻는 것처럼 우리가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물의 양을 기준 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직접적으로 물을 쓰는 경우 말고도 생활 속에서 간접적으로 많은 양의 물을 사용한다. 우리가 먹는 쌀을 예로 들자면, 벼농사를 지을 때부터 쌀로 가공하 고 포장하고 식탁까지 오는 과정에서도 물이 쓰인다. 그 쌀 로 밥을 지을 때도 물이 사용되니, 우리가 직접 보지 못하 는 거의 모든 과정에서 물이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비슷한 개념으로 ‘물발자국’이 있다. 물발자국은 원료 에서부터 유통, 폐기하는 모든 과정에 쓰이는 물의 양을 모 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같은 1kg의 양이라도 상추의 경우 약 237L인 반면 소고기는 15,415L의 물발자국을 남긴다. 육식보다 채식을 하는 식습관은 탄소배출을 낮출 뿐만 아 니라 물 절약에도 도움이 된다. 지구를 위해 보이지 않은 물까지 생각하며 생활 속에서 물 을 절약하는 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노력해보자.
우리집 수돗물이 걱정된다면? '우리집 수돗물 안심확인제’
국가상수도정보시스템 누리집(www.ilovewater.or.kr)에서 무료 수질 서비 스를 제공한다. 우리집 수돗물의 탁도, pH, 잔류염소, 철, 구리, 아연 항목 에 대한 결과를 받아볼 수 있다.